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6가지 | |
요/오, 대로/데로 ,되/ 돼, 음/슴, 안/않... 구별법 | |
| |
배이제 기자, bsi2020@yahoo.co.kr |
인터넷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게 됩니다. 틀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 6가지 입니다. 1. 요/오 “꼭 답장주십시요.”, “수고하십시요” 이런 말들은 모두 마지막의 “요”를 “오”로 바꿔 써야 맞습니다. 반면, “꼭 답장 주세요”, “수고 하세요”에서는 “요”가 맞는데, 말의 마지막에 “-시요”를 적을 일이 있을 때는 꼭 “-시오”로 바꿔 씁시다. 2. 데로/대로 “부탁하는 데로 해 주었다”, “시키는 데로 했을 뿐”은 틀린 말입니다. “데로”를 “대로”로 고쳐야 맞습니다.그러나 모든 “데로”가 다 틀리는 것은 아닙니다.“조용한 데로 가서 얘기하자”의 경우는 “데로”가 맞습니다.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?장소를 나타내는, 즉 “곳”으로 바꿔 말이 되는 곳은 “데로”,이외의 경우에는 “대로”로 씁니다. 3. 음/슴 언젠가부터 모든 “-읍니다”가 “-습니다”로 바뀌었습니다. 그러자 응용력이 뛰어난 많은 분들이 이 원리를 적용해 “밥을 먹었음”을 “밥을 먹었슴”으로 쓰기 시작하였습니다. “사슴”, “가슴”등의 명사 말고 말 끝이 “슴”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으니, 말 끝을 “음”으로 바꿔 말이 되면 무조건 “음”으로 적읍시다. 4. 으로/므로 많이 틀리면서 외우기도 상당히 어려운 고난도 기술입니다. 어려움이 있더라도 꼭 연마해 두시기 바랍니다. 일단 맞게 적은 예를 봅시다.“부재중이므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.” → “때문에”의 뜻일 때는 “므로” “편지를 보냄으로 대신한다.” → “-는 것으로”의 뜻일 때는 “ㅁ+으로” 따라서 “바쁨으로 깜박 잊었다”라든지, “혼잡함으로 후문을 이용해 주십시오”는 다 “므로”로 바꿔써야 합니다. 이 둘을 확실히 구별하는 방법은, “때문에”로 바꾸어 말이 되는지 보는 것입니다. 된다면 무조건 “므로”로 적어야 맞습니다. “그러므로” → “그렇기 때문에” “그럼으로” → “그러는 것으로” “일을 하므로 보람을 느낀다” → “일을 하기 때문에 보람을 느낀다” “일을 함으로 보람을 느낀다” → “일을 하는 것으로 보람을 느낀다” 5. 되다/돼다 우리말에 “돼다”는 없습니다. “돼”는 “되어”를 줄인 말이므로, 풀어보면 “되어다”가 되므로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. 반면, “됐다”는 “되었다”이므로 맞는 말입니다. 흔히 틀리는 경우가 “돼다”, “돼어”등이 있는데, 감별하는 방법은 일단 “돼”라고 적으려 시도를 하면서, “되어”로 바꾸어 보면 됩니다. “됐습니다” → “되었습니다” “안 돼” -→ “안 되어” (늘 줄여놓는 말만 써서 좀 이상해 보이지만 원형 대로 쓰면 이렇습니다.) “ㄷ습니다” → “되었습니다”가 말이 되므로 “돼”로 고쳐야 하는 말. “다 돼어 갑니다” → “다 되어어 갑니다” × “안 돼어” → “안 되어므로” 6. 안/않 부정을 나타낼 때 앞에 붙이는 “안”은 “아니”의 줄임말입니다. 따라서 “안 먹다”, “안 졸다”가 맞는 말입니다. 역시 부정을 나타내는 “않”은 “아니하-”의 줄임 말입니다.이 말은 앞말이 “무엇 무엇하지”가 오고, 그 다음에 붙어서 부정을 나타냅니다. “안 보다” → “아니 보다”“안 가다” → “아니 가다”“보지 않다” → “보지 아니하다”“가지 않다” → “가지 아니하다” “않 보다” → “아니하- 보다” × “않 먹다” → “아니하- 먹다” ד뛰지 안다” → “뛰지 아니” ד먹지 안다” → “먹지 아니” × 이것을 외우려면, 부정하고 싶은 말 앞에서는 “안”, 뒤에서는 “않”으로 생각하면 좋습니다 한국어문법상 돼/되의구분은 해/하의구분원리와같습니다. 하지만해/하는발음이 다르기 때문에누구도 헷갈려하지않지만 돼/되는발음이 똑같아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거죠. 무슨 소리냐구요? 해보면 압니다. 돼 ->해 되 ->하로 바꿔서 생각하면 되는 겁니다. 예제를 풀어봅시다. 안돼 / 안되 안해 / 안하 답은 안돼 안돼나요 / 안되나요 / 안해나요 / 안하나요 답은 안되나요 될 수밖에 / 됄 수밖에 할 수밖에 / 핼 수밖에 답은 될 수밖에 됬습니다 / 됐습니다 핬습니다 / 했습니다 역시 답은 됐습니다. |
(인터넷신문의 선두주자 뉴스타운 Newstown / 메디팜뉴스 Medipharmnews) |
출처 : 뉴스타운(www.newstown.co.kr)
글쓴이 : 뉴스타운 원글보기
메모 :
'지식창고 > 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‘청크’ 외우면 콩글리시 뚝! (0) | 2010.10.05 |
---|---|
[스크랩] 한글 과학화의 선구자, 세벌식 타자기 - 고 공병우 박사님 (1) | 2007.05.02 |
[스크랩] (1) 두뇌 트레이닝 - 점자로 잠자는 두뇌를 깨우자 (0) | 2007.05.02 |